현재 위치
  1. 게시판
  2. 다도교실

다도교실

다도에 관한 자료실입니다.

게시판 상세
제목 차 만들기-다화가 놓이는 자리
작성자 대표 관리자 (ip:)
  • 평점 0점  
  • 작성일 2013-08-03 00:25:48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1121

다화(茶花)가 놓이는 자리  
다화(茶花)가 놓이는 자리 (1)

花器 : 숙우
소재 : 명자꽃(산당화)
꽃말 : 조숙,평범,숙달
 
다화는 가장 눈길이 가는 자리에 놓여져 主와 客이 함께 감상할수 있는 자리가 이상적이다.
찻자리가 진행되는 자리의 분위기가 잘 조화될수 있는 곳에 다화가 놓여져서 그 역할을 하여야 한다. 다화가 아름다움은 외형적인 모습과 심미적인 차원에서 분위기를 우려내어 감상할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손님 뒤에 놓이거나 고개를 들어보는것과 낮아서 고개를 지나치게 숙여 감상하는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너무 거리가 멀어서 감상할수 없는 것도 실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화는 찻자리가 베풀어지는 장소가 정중하고 평안한 자리가 되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즉, 다화는 동적인 표현이 아니고 정지된 자리에서 정적이면서 고고한 자연스러운 것이어야 한다.
주변의 번잡함을 피하는 것이 좋고, 눈길이 주와客이 한 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은 하나의 생각을 나타내는 것이다.
지나치게 옆자리에 있어 부자유스럽거나 가리워져 있다면 안되는 것이다.
찻자리가 진행되는 동안 심미적인 아름다운 다화가 찻자리에 필요한 배경이 되며 신비로운 자연을 감상하는 꽃예술로서 이루어져야 한다.

다화를 보는 분위기는 꾸밈의 자리에서 달라지는 것이다. 작품을 보자기 위에 놓을 경우와 나무대나 문갑위에 놓이는 것에 따라 심리적으로 느낌이 다르다.
여름철에 소박한 삼베보자기나 대로 엮은 깔판에 놓이는 경우가 다르고, 무겁고 칙칙한 좌대에 놓았을 경우가 서로 다르다. 이때는 전자의 경우가 더 계절감을 느끼는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하겠다.
(茶花三昧 참고)

새벽

돋는 새벽 빛에 창살이 퍼러하다
백화등(藤) 향은 상머리 떠돌고
꾀꼬리 울음은 잦아 여윈 잠도 있었다.
송화 누른 가루 개울로 흘러들고
돌담 한 모로에 시나대 새순 돋고
차밭에 다(茶) 잎이 나니 茶나 먹고 살을까

(가람 이병기)
 
다화(茶花)가 놓이는 자리 (2)

花器 : 토기
소재 : 아이비-담쟁이덩굴
꽃말 : 희망
 
다화가 놓이는 자리는 산만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꼭 꽃이 아니어도 좋다. 들풀, 야생화 어느것 하나 어울리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주변이 복잡스럽고 번잡함은 피하는 것이 좋다.
물이 흐르고 고요한 냇가에 있는 듯 다석을 꾸며야 한다.
우리 선조들은 인위적인 분위기를 피하고 가장 자연스런 자리에서 다례를 행하였음을 찾아 볼 수 있다. 대청마루에서 정원을 바라보는 자리 또는 뒤뜰에서 장독곁에 조그만한 후원의 너그럽고 자연스러운 풍정을 느끼는 자리를 다석으로 꾸미었다. 여름철에는 주거공간에서 가장 넓고 시원스러운 대청마루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이상적인 자리가 되었다.

따라서 天地人, 하늘과 땅과 사람과 合一을 이루면서 정다운 사람과 또는 동리 어른들이 모여 차한잔 나누면서 자연의 아름다운 이야기도 나누고 필시 들풀, 야생꽃 한두송이 꽂아 가까이 두고, 아니면 사군자의 멋스러움과 시 한 수를 읊는다던가 농경 생활문화의 이야기를 나누는 정자는 조상들의 풍류와 지혜로운 삶에 대한 것이 이루어진 자리가 되는 것이다.

또 샘가의 작은 정자는 친구를 불러들이는 최상의 자리가 되는 것이다.
정자의 이름도 멋스러운 분위기로 지어지고 불러졌다.
茶亭. 茶村. 茶堂. 茶室. 蓮亭. 山居 등 수많은 아름다운 이름이 주인의 취향과 자연적인 환경과 어울리는 조화 속에서 멋스러움을 찾을 수 있다.

일본은 다도가 행해지는 자리를 도고노마라 하여 반평 정도 다다미를 깔고 옆으로 칸을 지르고 방바닥에서 약 10cm정도 높게 되어져 있다. 여기에 茶花를 놓아두고 그림이나 서예 족자 한점을 걸어둔다. 일본인들은 도고노마의 공간을 매우 神聖視 한다. 예를 들면 도라지꽃이 꽂이 꽂아 있으면 그림의 소재가 도라지꽃이 되어서는 안되는 약속이 있다고 한다.
도고노마 기둥에 침을 꽂아 화기를 걸어 실버들 등 긴 소재며 꽃을 투입하여 창출한 도고노마는 엄격한 성역처럼 꾸며놓아 자연스러움을 지향하는 우리와는 다르다.

우리는 소박함과 여유가 있다. 꽃이 핀 뜨락이라면 어디에서라도 자연스럽게 다례가 진행되었던 것이다. 선인들은 손님을 맞이할 때 남자는 사랑채에서 여자는 안채에서 손님을 맞이하였다.
사대부나 부유층이 아니면 다실을 별도로 갖는다는 것은 무리였을 것이다.
그러나 男女七歲不同席이란 유교적인 영향을 받았기에 사랑채 안채 구분되어 사용하였다.
사랑채는 남성적인 분위기로 文房四友의 정취를 느끼게 했고, 안채는 여인들의 섬세하고 정갈한 생활로 간결하게 꾸며져 있었다.
다화를 놓는 자리는 문갑이나 사방탁자 또는 좌대나 책상, 방, 기둥 같은곳이 다화가 놓이고 걸었던 자리였음을 찾아볼 수 있다.

전남 특산가

무등산 작설차를
곱돌솥에 달여내어
초의선사 茶法대로
한잔들어 맛을 보고
또 한잔은 빛깔보고
다시 한잔 향내 맡고
다도를 듣노라니
밤 깊은 줄 몰랐구나.

(노산 이은상(1903-1982) 詩) (茶花三味 참고)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0 / 200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